고클 동호인분들 모두 코로나사태로 참으로 힘든 나날을 보내리라 생각됩니다. 국가적으로도 참 위중한 상황이라 걱정이 이만저만 아닙니다. 하지만 지금은 서로를 탓하고 비난하기보다 닥친 현실을 맞서서 서로 협조하고 도우면서 위기를 이겨내야할것 같습니다. 지난 한 달 개인적으로도 힘든 시간을 보내면서 마음의 위로를 주는 것은 역시 가족과 음악밖에 없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스스로를 합리화시키며 무리를 해서 박스반을 좀 구입했습니다. 그동안 모았던 컬렉션에서 이빨을 채우는 작업이었기에 대단한 의미는 없으니 그냥 이런 구닥다리 음반들을 아직도 구입하는구나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카라얀 데카 전집입니다. 동 게시판에 올려주신 뽐뿌에 영국 아마존에서 구입했습니다. 겹치는 음반이 많지 않았지만 카라얀 전집을 DG60, 70, 80에 EMI Waner전집까지 지른 상황이라 이것까지 구매해야하나 고민만 했는데... 결국 지름신을 이기지못하고 마무리를 장식했습니다. 뭐... 그냥 후련하네요^^
굴다의 모차르트 테이프 협주곡 소나타 박스입니다. 굴다의 모차르트 연주는 늘상 회자되는 묘사처럼 어린 아이의 천진난만함, 때로은 익살과 해학이 숨어있는 따뜻하고 매력적인 연주같습니다. 레퍼런스로 많은 이들이 좋아하는 아바도/빈필과의 피협이 포함되어 있는데 사실 개별음반들로 갖고 있을때는 잘 안들었는데 이 박스물을 받아서 정말 오랫만에 들어보니 이렇게 좋은 연주를 왜 그동안 쳐박아 놓았지 하는 생각이 났습니다.
모차르트 음악 장르중 제가 가장 좋아하는 피아노협주곡은 전집이 적당한 가격에 눈에 띠면 일순위 표적이 됩니다. 영국 아마존에 좋은 가격에 크리스티안 차하리아스의 구반 전집을 구했습니다. 역시 모차르트에 장기를 보이는 연주자답게 몇 곡에 한정되지 않고 대부분 곡들에서 매력적인 연주를 전해줍니다. 유명하지 않은 곡들을 듣는 맛이 있습니다. 특히 협주곡에 따라 지휘자와 오케스트라가 다른 것도 나름의 매력이 있어서 좋았습니다. 매리너, 반트, 진만 기라성같은 분들과 호흡을 맞췄습니다.
이 음반은 그동안 언젠가는 질러야지 질러야지 하다가 드디어 해치운 박스입니다. 감상 후 왜 동호인들이 아르농쿠르의 베토벤 교향곡 전집 노래를 하면서 높이 평가하는지 실감할 수 있었습니다. 독창적이면서도 보편성을 절대 버리지않은 절묘한 절충적 해석을 이렇게 세련되게 보여줄 수 있다는 것이 놀랍습니다.
특별히 뒤프레나 바렌보임 팬은 아니지만 베토벤 첼로 소나타와 피아노 트리오 음반을 더 들이고 싶어서 선택했습니다. 생각보다 강한 개성이 엿보이지는 않았지만 풋풋한 젊음이 충분히 전해졌습니다. 생각보다 뒤 프레의 첼로가 거친 맛이 강하다는 것도 실감할 수 있었습니다.
요 음반은 사실 브릴리언트 베토벤 접집을 갖고 있어서 모든 연주가 중복이 되지만 워낙 굴다의 베토벤 소나타와 협주곡들을 좋아하다보니 직장과 집에 하나씩 두고 싶다는 생각에 그냥 장만했습니다. 연주는 그냥 우주최강 가성비 베토벤 소나타와 협주곡이라는 일부 음악 전문가들의 뿜뿌와 찬사로 갈음합니다.
한동안 오페라 음반들 구입을 안했는데 갑자기 클렘페러 음반을 구입하면서 전통적인 그의 모차르트 오페라 음반들을 소장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점점 나이가 먹어가면서 오페라도 이런 오래된 느린템포의 웅장하고 스케일이 도드라진 연주들이 더 좋네요. 한 동안은 고루하다고 이런 연주를 멀리했었는데 역시 음악도 청자가 처한 환경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달리 들리는것 같습니다.
지난 한달 힘든 시기에 가장 많이 들었던 음반이었고 큰 위로를 받았습니다. 월요일 미사B단조, 화요일 장엄미사 수요일 메시아 목요일 마태수난곡, 이런 식으로 계속 저녁마다 잠들기전까지 들었던것 같습니다. 거장신화에 등장하는 까칠하고 모난 클렘페러의 성격이 그리 맘에 들지는 않지만 그런 외골수의 삶이 곡 전반을 관통하는 종교적인 엄숙함과 장엄한 스케일을 극대화시키는데 탁월한 역량을 이끌지 않았나도 생각해봅니다.
마지막은 음반은 아니지만 도서관에 사달라고 주문해서 대출받아 읽고 있는 쫓겨난 사람들이 입니다. 미국의 도시 빈곤에 대한 실감나는 현실을 접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학자들도 이론서가 아니라 이런 책들을 더 많이 쓰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모든 분들 코로나 힘내서 이겨내시길 기원하겠습니다.
고클 동호인분들 모두 코로나사태로 참으로 힘든 나날을 보내리라 생각됩니다. 국가적으로도 참 위중한 상황이라 걱정이 이만저만 아닙니다. 하지만 지금은 서로를 탓하고 비난하기보다 닥친 현실을 맞서서 서로 협조하고 도우면서 위기를 이겨내야할것 같습니다. 지난 한 달 개인적으로도 힘든 시간을 보내면서 마음의 위로를 주는 것은 역시 가족과 음악밖에 없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스스로를 합리화시키며 무리를 해서 박스반을 좀 구입했습니다. 그동안 모았던 컬렉션에서 이빨을 채우는 작업이었기에 대단한 의미는 없으니 그냥 이런 구닥다리 음반들을 아직도 구입하는구나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굴다의 모차르트 테이프 협주곡 소나타 박스입니다. 굴다의 모차르트 연주는 늘상 회자되는 묘사처럼 어린 아이의 천진난만함, 때로은 익살과 해학이 숨어있는 따뜻하고 매력적인 연주같습니다. 레퍼런스로 많은 이들이 좋아하는 아바도/빈필과의 피협이 포함되어 있는데 사실 개별음반들로 갖고 있을때는 잘 안들었는데 이 박스물을 받아서 정말 오랫만에 들어보니 이렇게 좋은 연주를 왜 그동안 쳐박아 놓았지 하는 생각이 났습니다.
모차르트 음악 장르중 제가 가장 좋아하는 피아노협주곡은 전집이 적당한 가격에 눈에 띠면 일순위 표적이 됩니다. 영국 아마존에 좋은 가격에 크리스티안 차하리아스의 구반 전집을 구했습니다. 역시 모차르트에 장기를 보이는 연주자답게 몇 곡에 한정되지 않고 대부분 곡들에서 매력적인 연주를 전해줍니다. 유명하지 않은 곡들을 듣는 맛이 있습니다. 특히 협주곡에 따라 지휘자와 오케스트라가 다른 것도 나름의 매력이 있어서 좋았습니다. 매리너, 반트, 진만 기라성같은 분들과 호흡을 맞췄습니다.
이 음반은 그동안 언젠가는 질러야지 질러야지 하다가 드디어 해치운 박스입니다. 감상 후 왜 동호인들이 아르농쿠르의 베토벤 교향곡 전집 노래를 하면서 높이 평가하는지 실감할 수 있었습니다. 독창적이면서도 보편성을 절대 버리지않은 절묘한 절충적 해석을 이렇게 세련되게 보여줄 수 있다는 것이 놀랍습니다.
특별히 뒤프레나 바렌보임 팬은 아니지만 베토벤 첼로 소나타와 피아노 트리오 음반을 더 들이고 싶어서 선택했습니다. 생각보다 강한 개성이 엿보이지는 않았지만 풋풋한 젊음이 충분히 전해졌습니다. 생각보다 뒤 프레의 첼로가 거친 맛이 강하다는 것도 실감할 수 있었습니다.
요 음반은 사실 브릴리언트 베토벤 접집을 갖고 있어서 모든 연주가 중복이 되지만 워낙 굴다의 베토벤 소나타와 협주곡들을 좋아하다보니 직장과 집에 하나씩 두고 싶다는 생각에 그냥 장만했습니다. 연주는 그냥 우주최강 가성비 베토벤 소나타와 협주곡이라는 일부 음악 전문가들의 뿜뿌와 찬사로 갈음합니다.
한동안 오페라 음반들 구입을 안했는데 갑자기 클렘페러 음반을 구입하면서 전통적인 그의 모차르트 오페라 음반들을 소장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점점 나이가 먹어가면서 오페라도 이런 오래된 느린템포의 웅장하고 스케일이 도드라진 연주들이 더 좋네요. 한 동안은 고루하다고 이런 연주를 멀리했었는데 역시 음악도 청자가 처한 환경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달리 들리는것 같습니다.
지난 한달 힘든 시기에 가장 많이 들었던 음반이었고 큰 위로를 받았습니다. 월요일 미사B단조, 화요일 장엄미사 수요일 메시아 목요일 마태수난곡, 이런 식으로 계속 저녁마다 잠들기전까지 들었던것 같습니다. 거장신화에 등장하는 까칠하고 모난 클렘페러의 성격이 그리 맘에 들지는 않지만 그런 외골수의 삶이 곡 전반을 관통하는 종교적인 엄숙함과 장엄한 스케일을 극대화시키는데 탁월한 역량을 이끌지 않았나도 생각해봅니다.
마지막은 음반은 아니지만 도서관에 사달라고 주문해서 대출받아 읽고 있는 쫓겨난 사람들이 입니다. 미국의 도시 빈곤에 대한 실감나는 현실을 접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학자들도 이론서가 아니라 이런 책들을 더 많이 쓰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모든 분들 코로나 힘내서 이겨내시길 기원하겠습니다.